╱╱╭╮╱╱╱╱╱╱╭━━━╮╱╱╱╭╮╱╭╮╱╱╱╱╱╱ ╱╱┃┃╱╱╱╱╱╱┃╭━╮┃╱╱╱┃┃╱┃┃╱╱╱╱╱╱ ╱╱┃┣━━┳━━╮┃┃╱┃┣━╮╱┃╰━╯┣━━┳━╮╱ ╭╮┃┃╭╮┃┃━┫┃╰━╯┃╭╮╮┃╭━╮┃╭╮┃╭╮╮ ┃╰╯┃╭╮┃┃━┫┃╭━╮┃┃┃┃┃┃╱┃┃╭╮┃┃┃┃ ╰━━┻╯╰┻━━╯╰╯╱╰┻╯╰╯╰╯╱╰┻╯╰┻╯╰╯

CS/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아키텍처 심화 (20)

재안안 2024. 6. 21. 03:08

 

[5] 클라우드 아키텍처 (심화)
-  하이퍼바이저 클러스터링 아키텍처
-  부하 분산 가상 머신 인스턴스 아키텍처
-  무중단 서비스 재배치 아키텍처
-  무정지 아키텍처
-  클라우드 밸런싱 아키텍처
-  자원 예약 아키텍처
-  동적 장애 감지 및 복구 아키텍처
-  베어 메탈 프로비저닝 아키텍처
-  신속한 프로비저닝 아키텍처
-  스토리지 워크로드 관리 아키텍처

하이퍼바이저 클러스터링 아키텍처
-  하이퍼바이저는 물리 서버에서 가상 머신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하나의 물리 서버에 하나의 하이퍼바이저가 설치되는 형태로 운용
-  물리 서버 또는 하이퍼바이저에 장애 발생 시, 관련된 가상 머신에 장애 발생 한다.
-  여러 물리 서버에 하이퍼바이저 고가용성 클러스터를 구축해서
-  하이퍼바이저 또는 물리 서버에 장애 발생시, 가상머신을 다른 하이퍼바이저가 관리하는 물리 서버로 이관
-  중앙의 VIM이 하이퍼바이저 클러스터를 관리하는데, heart-beat 메시지를 통해 주기적으로 하이퍼바이저의 상태를 체크한다.
-  가상머신의 CPU/MEM은 물리 서버에, 데이터는 공유 클라우드 스토리지 장치에 저장한다.

부하 분산 가상 머신 인스턴스 아키텍처
-  작업 부하 분산 아키텍처를 사용해도, 특정 물리 서버에 가상 머신이 집중될 수 있다.
-  가상 머신을 물리 서버에 고루 분배하는 아키텍처
-  용량 관제 클라우드 사용 모니터, 실시간 VM 이관 프로그램, 용량 계획 도구로 구성
-  용량 관제 모니터 : 물리 서버 및 가상 머신 사용량 추적, 용량 요구량을 용량 계획 도구에 전달
-  용량 계획 도구 : 가상 머신 분산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고, 필요 시, VM 이관 프로그램에 전달
-  실시간 VM 이관 프로그램 : 가상 머신을 다른 물리 서버로 이관

무중단 서비스 재배치 아키텍처
-  어떠한 경우에도 서비스 중단을 방지하고, 서비스 지속을 위한 아키텍처
-  이중화가 아닌 사전에 정의된 이벤트 발생시, 자동으로 런타임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복제 또는 이관
-  서비스 재배치를 통해 서비스 중단을 방지
-  가상 머신의 디스크가 로컬 스토리지에 있다면, 복제본을 목적지 호스트가 사용하는 스토리지에 생성한다.

무정지 아키텍처
-  물리 서버에 장애 발생시(단일 실패 지점),가상 머신을 다른 물리 서버로 이관하는 장애 조치 시스템
-  여러 물리 서버를 하나의 그룹으로 관리하고, 그룹 내에서 가상머신을 다른 물리 서버로 이관
-  그룹 내 가상 머신은 공유된 스토리지를 사용
-  고가용성 클라우드 아키텍처의 핵심

클라우드 밸런싱 아키텍처
-  여러 클라우드에서 IT 자원을 로드 밸런싱 할 수 있는 특수한 아키텍처
-  소비자의 요청을 여러 클라우드 간에 분산시키는 구조
-  서비스는 동일한데, 서로 다른 클라우드 플랫폼을 동시에 적용
-  IT 자원의 성능, 확장성, 가용성, 신뢰성을 향상하고 부하 분산과 IT 자원 효율성을 향상

자원 예약 아키텍처
-  특정 사용자가 IT 자원을 독점해서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 (개별 자원 풀)
-  각 자원 풀(물리 자원 풀에서 가상화)을 개별 사용자에게 독점적으로 제공하고, 필요 시 일부 자원 대여 가능
-  다른 사용자에게 할당된 자원 중 일부를 대여할 경우, 다른 사용자의 서비스 품질이 일정 수준 보장을 위해, 미리 정해진 양 이상의 자원을 빌릴 수 없음
-  해당 사용자의 성능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고, 런타임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장

@런타임 충돌
-  IT 자원이 다른 클라우드 사용자에 의해 동시에 접근/사용될 때 발생

동적 장애 감지 및 복구 아키텍처
-  미리 정의한 장애 시나리오를 감시하고,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고 자동 복구 능력이 있는 관제 시스템을 구축
-  자동으로 대응할 수 없다면, 관리자에게 통지 및 제어 권한을 넘김
-  지능형 관제 모니터라 불리는 특화된 클라우드 사용 모니터를 활용

@자동 복구 관제 시스템
-  관찰 및 감시
-  이벤트 발생시 대응 행위 결정
-  이벤트 발생시 대응 행위 수행
-  보고
-  에스컬레이션

@지능형 관제 모니터
-  단계적 행동을 결정하기 위해, 순차적인 복구 정책이 개별 IT 자원에 대해 정의되어야 한다.
-  장애 상황 발생시, 사전에 정의한 복구 정책을 자동으로 실행

베어 메탈 프로비저닝 아키텍처
-  일반적인 가상 머신 프로비저닝은 물리 서버에 OS에 원격 관리 SW를 설치한다.
-  최신 물리 서버에는 원격 관리 기능을 서버의 ROM에 설치하는 옵션을 제공
-  베어 메탈 HW에 OS 설치 및 네트워크 설정을 원격으로 수행 가능
-  물리 서버의 ROM에 통합된 원격 관리 SW는 서버가 시작할 때 구동

베어 메탈 프로비저닝 아키텍처 컴포넌트
-  식별(discovery) 에이전트 : 할당할, 가용한 물리 서버를 탐색하고 발견하는 모니터링 에이전트
-  배치(deployment) 에이전트 : 베어 메탈 프로비저닝 배치 시스템의 클라이언트로서, 물리 서버의 메모리에 설치되는 관리 에이전트
-  식별(discovery) 영역 : 네트워크를 검사하고, 물리 서버의 위치를 확인하는 sw 컴포넌트
-  관리 로더(loader) : 물리 서버에 연결하고 클라우드 소비자용 관리 옵션을 로드하는 컴포넌트
-  배치 (deployment) 컴포넌트 : 선택된 물리 서버 위에 OS를 설치하는 컴포넌트

신속한 프로비저닝 아키텍처
-  수동 프로비저닝 프로세스는 비 효율적임
-  IT 자원 프로비저닝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수행 (fast = automatic)
-  클라우드 스토리지 장치 매커니즘이 어플리케이션 베이스라인 정보, 템플릿, 스크립트의 저장을 위해 사용됨
-  하이퍼바이저는 가상 머신을 신속하게 생성, 배치, 운영함
-  자원 복제 매커니즘은 신속한 프로비저닝 요구 사항에 대응해 복제된 IT 자원의 인스턴스를 생성하는데 사용됨

신속한 프로비저닝 아키텍처 구성 요소
-  서버 템플릿 : 신규 가상 머신 전용 가상이미지 파일 템플릿
-  서버 이미지 : 물리 서버를 프로비저닝할 때 사용할 이미지
-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 자동배치 전용으로 패키징된 어플리케이션 및 기타 SW 모음
-  맞춤 스크립트 : 지능형 자동화 엔진의 일부로 관리 작업을 자동화 하는 스크립트
-  시퀀스 관리자 : 자동 프로비저닝 작업의 순서를 조직화하는 프로그램
-  시퀀스 이력 기록 장치 : 자동화 프로비저닝 작업 순서의 실행 이력을 기록
-  운영체제 베이스라인 : OS 설치후, 이를 신속하게 활용하도록 준비하기 위해 적용되는 구성 템플릿
-  어플리케이션 구성 베이스라인 : 신규 어플리케이션 사용 준비에 필요한 설정 및 환경 변수를 포함하는 구성 템플릿
-  배치 데이터 스토어 : 가상 이미지, 탬플릿, 스크립ㅌ, 베이스라인 구성 및 기타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

스토리지 워크로드 관리 아키텍처
-  사용 가능한 클라우드 스토리지 장치간 LUN이 균등하게 분배되도록하고, 동시에 스토리지 용량 시스템이 구축되어 런타임 작업 부하가 여러 LUN간에 균등하게 분배되는 것을 보장
-  사용 가능한 클라우드 스토리지 장치 간에 LUN을 균등하게 분배
-  런타임 작업 부하를 여러 LUN간에 균등하게 분배
-  LUN 마이그레이션 : LUN을 다른 스토리지로 옮기는 프로그램 또는 그 과정

@Logical Unit Number
-  논리적으로 사용되는 고유 식별자 번호
-  물리 저장소를 나눈 파티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