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비용지표, 가격모델, Qos, SLA
클라우드 도입을 위한 고려사항들
비용 지표
- 클라우드 도입 계획을 세울 떄 필요한 지표
- 1. 비즈니스 비용 지표
- 2. 클라우드 사용 지표
비즈니스 비용 지표
- On-premsise 자원을 구매하는 것과 비교할 때, 클라우드 기반 IT자원을 임대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예상 비용 및 가치를 평가하는데 사용하는 일반적인 지표 유형
- 선행 비용 : IT 자원을 획득하는 비용과 설치/관리하는데 소요되는 초기 투자비용을 의미 (on-premise : 매우 높음, 클라우드 컴퓨팅 : 매우 낮음)
- 지속 비용 : IT 자원을 실행하고 유지/관리에 필요한 비용 (일정 기간을 넘어가면 클라우드 자원의 지속 비용이 on-premise 지속 비용을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음)
Capital Expenditures
- 기업이 고정 자산을 취득하기 위해 지출하는 비용
- 장기간 사용할 목적으로 구매하는 장비의 구매 비용, 설비 투자 비용 등
- 선행 비용
Operating Expenditures
- 비즈니스 운영에 필요한 일상적인 비용으로, 지속적으로 지출되는 비용
- 구매한 장비의 운영을 위해 매일/매주/매달 지속적으로 지출되는 비용
- 라이선스, 인건비, 가상 자원 임대 비용, 대역폭 사용료 등
- 지속 비용
클라우드 사용 지표
- 클라우드 기반 IT 자원 사용량 측정 및 관련 비용을 계산하기 위한 지표
- MS Azure의 경우 가격 계산기를 제공한다.
- 주로 사용량당 과금 지표를 사용한다.
- 네트워크 사용량
- 서버 사용량
- 클라우드 스토리지 장치 사용량
-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량
네트워크 사용량
- 인/아웃바운드 네트워크 사용 트래픽 지표를 통해 계산 ($0.001/GB)
- 클라우드 간 Wide Area Network 트래픽 바이트 총합 ($0.005/GB)
- 정적 IP 주소 사용 여부, 부하 분산 처리된 네트워크 트래픽 양(바이트), 방화벽에 의해 처리된 네트워크 트래픽 양(바이트)가 포함된다.
서버 사용량
- 가상 머신의 할당 비용은 IaaS 및 PaaS환경에서 측정
- 가동 시간에 따른 주문형 On-demand 가상 머신인스턴스 할당 지표 ($0.01/시간, $0.90/시간 등)
- 예약 가상 머신 인스턴스 예약을 위한 선행 비용($55.1/월, $249.9/월 등)
클라우드 스토리지 장치 사용량
- 일반적으로 on-demand 스토리지 할당 지표로 측정
- 세부 지표에 따라 실제 사용량과 무관하게 할당량 만을 기준으로 과금 될 수 있다.
- On-demand 스토리지 공간 할당 지표 : 바이트 단위의 스토리지 공간 할당 크기 및 기간으로 사용량과 무관하다. (시간당 $0.01/GB)
- 전송된 I/O 데이터 지표 : 실제 사용량에, 전송된 I/O데이터 바이트, 기반하여 과금한다. (시간당 $0.10/TB)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량
- SaaS 환경에서의 지표
- 1. 어플리케이션 가입 기간 지표 : 클라우드 서비스 가입 기간 ($59.99/월)
- 2. 지정 사용자 수 지표 : 서비스 사용자 수 ($0.90/사용자/월)
- 3. 트랜잭션 수 지표 : 제공/처리되는 트랜잭션 수 ($0.05 / 1000 트랜잭션)
서비스 품질 지표 및 SLA
- Service Level Agreement : 클라우드 제공자가 제시한 품질 보증 내용을 공식화한 것
- 서비스 품질 지표 : SLA는 측정 가능한 QoS 특정을 표현하기 위해 여러 서비스 품질 지표를 사용
- 가용성, 신뢰성, 성능, 확장성, 복원력
서비스 가용성 지표
- 서비스가 어느정도로 가용한 지를 측정하는 지표
- 측정 : 총 가동시간 / 총 시간
- 가용율은 전체 사용 기간 동안 누적으로 계산
- 가동 중단 기간 지표 : 중단 기간을 측정 (중단 시작 ~ 중단 종료)
서비스 신뢰성 지표
- 작동 가능하고 사용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며 예상한 대로 동작하는 것을 측정
- 서비스 실패 사이의 평균 기간
- 평균 장애 간격 : 정상적인 구동 시간의 합 / 실패 횟수
- 신뢰율 지표 : 정의된 조건하의 성공적인 서비스 결과의 백분율 (성공적인 응답 횟수 / 총 요청 횟수)
서비스 성능 지표
- 품질은 서비스 용량 지표를 사용해 측정한다.
- 네트워크 용량 지표 : 대역폭 또는 초당 비트 처리량
- 스토리지 장치 용량 지표 : GB 단위의 스토리지 크기
- 서버 용량 지표 : 서버의 CPU 수, 클럭 주파수, RAM 및 HDD 용량
- 웹 어플리케이션 용량 지표 : 분당 요청 처리량
- 인스턴스 시작 시간 지표 : 인스턴스 활성화 시간 - 인스턴스 시작 요청 시각
- 응답 시간 지표 : 요청 시각부터 응답 수신까지 소요된 시간의 총합 / 총 요청 횟수
- 완료 시간 지표 : 응답 날짜 - 요청 날짜의 총합 / 총 요청 횟수
서비스 확장성 지표
- IT 자원의 탄력성과 작업 부하 변동성에 대한 수용력의 측정 및 IT 자원이 도달할 수 있는 최대 용량
- 스토리지 확장성(수직) 지표 : 증가 작업 부하에 따라 허용되는 스토리지 장치 용량 변화
- 서버 확장성(수평) 지표 : 증가하는 작업 부하에 따라 허용되는 서버 가상 머신 개수의 변화
- 서버 확장성(수직) 지표 : CPU수, GB 단위의 RAM 크기
- 평균 전환 시간 지표 : 전환 완료 시각 - 실패 발생 시각의 총합 / 전체 실패 횟수
- 평균 복구 시간 지표 : 복구완료시각 - 실패 발생 시각의 총합 / 전체 실패 횟수
'CS > 클라우드 컴퓨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아키텍처 특화 (21) (0) | 2024.06.21 |
---|---|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아키텍처 심화 (20) (0) | 2024.06.21 |
[클라우드 컴퓨팅] Amazon AWS (19) (0) | 2024.06.21 |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아키텍처 (18) (0) | 2024.06.21 |
[클라우드 컴퓨팅] 컨테이너 마이그레이션 (17) (0) | 2024.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