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Python/Python 기초 19

[Python] 입출력 함수(input 함수)

파이썬의 입출력 부분에서 입력은 input 함수를 사용한다. input 함수는 키보드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받고 전달하는 일을 한다. 키보드에서 입력받은 값을 변수에게 전달해 활용한다. 우선 아래 사진으로 input 함수를 알아보겠다. input 함수에서 받는 인자는 문자열이다. 문자열(인자)를 먼저 출력한 뒤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그런데 함수의 인자를 전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인자 전달 유무의 차이는 아래 예제를 통해 확인하겠다. 프로그램 실행후 콘솔창을 클릭하면 키보드 커서가 깜빡거린다. 이후 콘솔창에 1 -> enter -> 2 -> enter 차례대로 입력하였다. (키보드 타이핑) x is 1 y is 2는 3번줄의 실행결과이므로 input()실행 결과를 보려면 그 위를 봐야한다. 1 -> ent..

[Python] 입출력 함수(print 함수)

이번 시간엔 파이썬에서 가장 기본적인 함수라고 생각해도 무방할 입출력 함수에 대해 알아보겠다. print()는 출력함수이고 단어() 형식을 통해 함수임을 알 수 있다. 우선 함수의 개념부터 알아보자. 함수는 어떠한 값을 받아서 일을 수행하고 수행한 결과를 반환한다. 쉽게 말하자면 함수에게 원두를 줄테니 커피를 만들어줘 하면 원두(값)을 받아서 요리,포장(일)를 하고 커피(결과)를 돌려준다. 해줘 하면 해준다. 일단 함수는 일을 대신 해준다는 개념으로 생각해도 좋다. 우선 그동안 예제로도 많이 사용했던 print()에 대해 알아보겠다. print()가 해주는 일은 주어진 값을 콘솔창에 출력하는 것이다. 콘솔창은 코드들의 실행 결과를 확인하는 창이다. 사용형식으로 print(값)이고 특이한 경우에는 조금 다..

[Python] 변수 선언과 자료형 6 (dictionary)

이번에 알아볼 자료형은 컬렉션 자료형중 하나인 딕셔너리(dictionary)이다 영단어 딕셔너리(dictionary)는 사전을 뜻하는데 파이썬에서 딕셔너리는 'key'와 'value'를 한쌍으로 갖는 자료형이다. 딕셔너리 또한 리스트처럼 여러가지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자료형이다. 그러나 딕셔너리는 원소의 순서가 없다. 인덱스가 없는 대신 'key'를 이용해 'value'에 접근한다. '키'와 '값'을 서로 매칭하는데 마치 '단어'와 '뜻'으로 생각해도 된다. 아래의 예제를 통해 더 설명 하겠다. 1번 줄에서 dic을 초기화했고 3개의 딕셔너리 자료형들이 있다. 원소들은 {중괄호}안에 선언되고 key : value의 선언형식을 사용한다. 원소는 쉼표로 구분 가능하다. 여기서 'two':1, 'name':'j..

[Python] 변수의 선언과 자료형 5 (tuple, set)

지난번엔 리스트에 대해서 알아봤고 이번엔 튜플과 세트에 대해 알아보자. 우선 유플과 세트가 가지고 있는 리스트와의 차이점을 알아야한다. 리스트는 생성후 원소의 추가, 제거, 변경이 가능하고 원소의 순서가 있다. 튜플은 생성후 원소의 추가, 제거, 변경이 불가능하고 원소의 순서가 있다. 세트는 생성후 원소의 추가, 제거, 변경이 가능하지만 중복된 원소를 저장하지 않는다. 원소의 순서가 없다. 아래와 같이 tu와 se을 선언해 자료형을 확인하였다. 위의 개념들을 직접 실행해 보겠다. tuple엔 append사용이 안된다. tuple은 초기 원소들을 수정 변경 삭제할 수 없도록 막혀있다. set에도 append 사용이 안된다. 원소들의 순서가 없다는건 인덱스가 없다는 말이다. 아래를 통해 확인하자. 그래도 s..

[Python] 변수의 선언과 자료형 4 (컬렉션-list)

컬렉션이란 모음이라는 뜻으로 여러가지 변수들의 집합체이다. 컬렉션은 여러가지 데이터들을 한번에 저장할 수 있다. 아래와 같이 컬렉션은 여러가지 종류로 공통적으로 여러가지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자료형이지만 각자 가지고 있는 특징들이 다르다. 1. 리스트 list 2. 튜플 tuple 3. 세트 set 4. 딕셔너리 dictionary 리스트, 튜플, 세트 생성은 위와 같이 한다. li, tu, se 모두 1, 2, 'm'을 값으로 저장했다. 생성 방식에도 별 차이가 없으니 잘 봐야한다. 여기 1, 2, 'm'처럼 컬렉션안에 있는 데이터들을 원소라고도 한다. 리스트, 튜플, 세트의 특징을 정리했다. 리스트는 [대괄호] 사용 생성후 원소의 추가, 제거, 변경이 가능하고 원소의 순서가 있다. 튜플은 (소활호) 사..

[Python] 변수의 선언과 자료형 3 (문자열)

이번엔 변수 자료형의 종류중 하나인 문자열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문자열은 string이라고 하며 주로 사용시엔 str이라고한다. 문자열은 문자(character)들의 집합이다. 어떠한 단어를 저장 할 수도 있고 문장을 저장 할 수도 있다. 그중에 가장 큰 특징은 따옴표와 쌍따옴표들의 사이에 있다는 것이다. 따옴표 사이에 있는 모든것을 문자 처리한 집합이다. 예를 들어보자면 'string' "1234" '''jaeano jounal''' """string example""" 3줄 모두 문자열이고 문자들의 집합이다. 'string'은 문자(s, t, r, i, n, g)들이 모여있어 우리에게 string으로 읽히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1234" 는 숫자 1,234가 아니라 문자(1, 2, 3, 4)들..

[Python] 변수의 선언과 자료형 2 (변수 선언 규칙)

사실 변수의 선언과 초기화는 다르다. 말그대로 변수의 선언은 변수를 쓸 것이다. 어떠한 박스에 이름을 붙이는 행위이고 변수의 초기화는 박스에 값을 넣는 행위이다. 파이썬에서는 변수의 시작은 초기화부터이다. 1번째 줄은 변수 x를 선언함과 동시에 초기값 10으로 초기화한 것이고 2번째 줄은 변수 y를 선언만 해보려고 했는데 아래와 같이 에러가 났다. (y는 선언이 안됐다고 한다. 2번째 줄을 int y;로 해봐도 안된다. 이런식의 변수 초기화는 C언어에서 사용한다.) 그 이유를 들자면 변수와 저장하는 값의 자료형이 같아야 한다고 했는데 원래는 변수의 자료형을 컴퓨터에게 알려줘야한다. 파이썬에서는 변수가 저장하는 값의 자료형으로 자동으로 바뀌며 이를 초기화 된다고 한다. 그런데 저장하는 값이 없으니 초기화 ..

[Python] 변수의 선언과 자료형

변수는 정말 기초적인 개념이라고 생각한다. 그만큼 중요하고 쓰임새도 많다. 우선 변수는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공간이다. 변수를 선언하면 메모리를 할당하고 그 메모리에 값을 저장한다. 쉽게 말하자면 어떠한 박스에 이름을 붙여주고 내용물을 담는 것이다. 내용물이 중요하니까 박스에 담아서 보관하고 그 박스가 어디있는지 어떻게 찾는지 알아야하니까 박스에도 이름을 붙이는 것이다. 말이 길지만 사실 이렇게 하면 변수의 선언이 된다. 수많은 박스들이 있다. 그 중 하나의 박스에 x라는 이름을 붙이고 10이라는 값을 저장했다. 여기서 x가 변수, 10이 값이다. =은 연산자 라고 한다. 대입 연산자인데 오른쪽에 있는 값을 왼쪽 변수에 넣어주는 역활을 한다. 여기서 수학의 "왼쪽과 오른쪽이 같다"와 햇갈릴 수 있지만 파..

파이썬 입문

파이썬을 공부하기전에 파이썬을 공부하는 목적을 생각해 보았다. 파이썬이 배우기 쉽고 강력한 프로그래밍 언어라서? 효율적인 고수준 데이터 구조를 갖춰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접근법 또한 갖춰서? 물론 맞는 말이지만 주어진 상황에 어떤 프로그램을 써서 효율적으로 풀어갈 지 결정하기위함 이라고 생각한다. 다양한 상황들에 대비하기위해 여러가지 도구들을 준비하려고 한다. 다국어가 가능하면 더 많은 사람들과 소통하기 편한거 처럼. 우선 프로그램 언어의 종류와 대표적인 예시들로 1. 컴파일 언어 (C) 2. 스크립트 언어 (Python) 3. 블록형 언어 (Scratch) 4. 교육용 언어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파이썬은 스크립트 언어에 속하며 인터프리터 언어라고도 한다. C..